안녕하세요. (차)에 대한 (차)이를 만드는 (차)차차 차기자입니다.
지난주 강원도 고성-속초, 강릉-동해에서 일어난 대형 산불은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피해 규모가 무척 컸습니다. 막대한 산림과 들판이 잿더미로 변했고, 주택과 상가 그리고 학교와 리조트를 비롯한 대형 건물까지 화마가 휩쓸고 지나갔지요. 자동차 수십 여대도 피해를 보았습니다. 심지어 학생을 태우고 대피하던 관광 버스까지 불이 옮겨붙으면서 많은 사람의 가슴을 쓸어내리게 했죠.


불로 인한 차량화재, 자동차 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까?
한편 이와 같은 대형 화재는 사실상 자연재해에 가까운 탓에 보상 주체가 애매한 경우가 많은데요.다행히 정부가 피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덕분에 피해 주민은 정부로부터 구호 및 복구에 필요한 행정, 재정, 금융, 세제 혜택을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생업시설과 주택 피해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복구비 지원은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재산 피해는 어떻게 보상받을 수 있을까요?

정답을 먼저 말씀드리면, 보상받을 유일한 방법은 보험뿐입니다. 농기계종합보험, 농작물보험, 가축 보험에 가입한 이들은 보험을 통해 관련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은 정부가 주관하는 정책 보험으로써 보험료가 저렴한 게 특징입니다.다만 이러한 상품이 있는지 모르고 가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자차담보에 가입했다면, 어떤 화재던 보상받을 수 있어
불이 난 자동차는 ‘자차담보(자기차량손해)’에 가입한 경우에만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화재 보상 주체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자신이 가입한 보험 외에는 보상받을 길이 없기 때문입니다. 사실 자동차 화재 보상 주체에 대한 논의는 작년에 발생한 ‘BMW 화재 이슈’ 가 불거지면서 활발해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화재는 1년에 약 5,000건입니다. 이중 자동차 사고로 인한 화재는 약 10%에 불과하며, 절반 이상은 자동차의 기계적, 전기적 요인 때문에 일어납니다.


차가 다 타버린 후에는 사고원인을 밝혀내기 어려운 탓에 자동차 결함이나 정비 과실에 의한 화재더라도 당사자에게 책임을 묻기 어려웠는데요. 그래서 일단 자동차 보험을 통해 보상을 받고 끝내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그러나 구체적인 결함이 확인된 BMW 화재는 제조사가 직접 고객 피해를 배상한 이례적인 사례로 남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보상 주체가 확실한 경우에는 보험회사가 화재 발생에 책임 있는 자에게 구상권을 청구하여 고객에게 지급한 보상금을 회수합니다.
화재 원인에 따라 배상책임 주체가 달라진다

이처럼 자동차의 고유 결함 때문이라면 제조사가 배상책임을 지며, 정비소 실수로 발생한 것이면 정비업체에서 책임을 집니다.다만 앞서 말씀드린것처럼 결함이나 정비과실은 입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차주가 먼저 보험을 통해 보상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 같은 원인 미상에 의한 자동차 화재는 약 13%를 차지합니다. 그렇다면 자동차 화재로 인해 다른 이에게 피해를 준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이때도 마찬가지로 화재 원인에 따라 배상책임의 주체가 결정됩니다.

단, 예외도 있습니다. 보험사는 화재 원인과 관계없이 먼저 보상하지만, 차주의 정비 소홀로 발생한 화재는 자차담보 보상에 한해 보험사가 차주에게 일부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 이때는 차에서 발생한 불이 건물이나 주변 차로 번진 경우에만 보험사에서 보상하며,화재의 원인인 차에 지급한 보상금에 대해서는 차주에게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관리에 대한 책임은 어디까지나 차주에게 있으며, 이러한 관리 감독을 게을리해선 안 된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지난주 강원도 고성-속초, 강릉-동해에서 일어난 대형 산불은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피해 규모가 무척 컸습니다. 막대한 산림과 들판이 잿더미로 변했고, 주택과 상가 그리고 학교와 리조트를 비롯한 대형 건물까지 화마가 휩쓸고 지나갔지요. 자동차 수십 여대도 피해를 보았습니다. 심지어 학생을 태우고 대피하던 관광 버스까지 불이 옮겨붙으면서 많은 사람의 가슴을 쓸어내리게 했죠.


불로 인한 차량화재, 자동차 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까?
한편 이와 같은 대형 화재는 사실상 자연재해에 가까운 탓에 보상 주체가 애매한 경우가 많은데요.다행히 정부가 피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덕분에 피해 주민은 정부로부터 구호 및 복구에 필요한 행정, 재정, 금융, 세제 혜택을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생업시설과 주택 피해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복구비 지원은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재산 피해는 어떻게 보상받을 수 있을까요?

정답을 먼저 말씀드리면, 보상받을 유일한 방법은 보험뿐입니다. 농기계종합보험, 농작물보험, 가축 보험에 가입한 이들은 보험을 통해 관련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은 정부가 주관하는 정책 보험으로써 보험료가 저렴한 게 특징입니다.다만 이러한 상품이 있는지 모르고 가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자차담보에 가입했다면, 어떤 화재던 보상받을 수 있어
불이 난 자동차는 ‘자차담보(자기차량손해)’에 가입한 경우에만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화재 보상 주체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자신이 가입한 보험 외에는 보상받을 길이 없기 때문입니다. 사실 자동차 화재 보상 주체에 대한 논의는 작년에 발생한 ‘BMW 화재 이슈’ 가 불거지면서 활발해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화재는 1년에 약 5,000건입니다. 이중 자동차 사고로 인한 화재는 약 10%에 불과하며, 절반 이상은 자동차의 기계적, 전기적 요인 때문에 일어납니다.


차가 다 타버린 후에는 사고원인을 밝혀내기 어려운 탓에 자동차 결함이나 정비 과실에 의한 화재더라도 당사자에게 책임을 묻기 어려웠는데요. 그래서 일단 자동차 보험을 통해 보상을 받고 끝내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그러나 구체적인 결함이 확인된 BMW 화재는 제조사가 직접 고객 피해를 배상한 이례적인 사례로 남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보상 주체가 확실한 경우에는 보험회사가 화재 발생에 책임 있는 자에게 구상권을 청구하여 고객에게 지급한 보상금을 회수합니다.
화재 원인에 따라 배상책임 주체가 달라진다

이처럼 자동차의 고유 결함 때문이라면 제조사가 배상책임을 지며, 정비소 실수로 발생한 것이면 정비업체에서 책임을 집니다.다만 앞서 말씀드린것처럼 결함이나 정비과실은 입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차주가 먼저 보험을 통해 보상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 같은 원인 미상에 의한 자동차 화재는 약 13%를 차지합니다. 그렇다면 자동차 화재로 인해 다른 이에게 피해를 준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이때도 마찬가지로 화재 원인에 따라 배상책임의 주체가 결정됩니다.

단, 예외도 있습니다. 보험사는 화재 원인과 관계없이 먼저 보상하지만, 차주의 정비 소홀로 발생한 화재는 자차담보 보상에 한해 보험사가 차주에게 일부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 이때는 차에서 발생한 불이 건물이나 주변 차로 번진 경우에만 보험사에서 보상하며,화재의 원인인 차에 지급한 보상금에 대해서는 차주에게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관리에 대한 책임은 어디까지나 차주에게 있으며, 이러한 관리 감독을 게을리해선 안 된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본 사이트/앱 상의 모든 정보, 콘텐츠, UI 등에 대한 무단 복제, 배포, 스크래핑 등의 행위는 법에 의하여 엄격히 금지됩니다.